수입차량 썸네일형 리스트형 휠의 크기에 따른 성능 - 휠공구 이전 포스팅에서 휠의 종류와 제작법에 따른 구분 등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휠은 크기에 따라 가격도, 성능도 달라지기 때문에 휠의 크기가 자동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운행되는 1500cc급 자가용으로 예를 들자면, 1500cc급 자가용의 휠은 일반적으로 185 / 65 / 14 의 사이즈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순서대로 타이어의 지면 접지면적두께(광폭)/ 휠과 사이의 타이어의 두께(시리즈)/ 휠지름을 뜻합니다. 보통 국내에서 생산된 1500cc급은 14,15인치 휠이 무리가 없으며 2000cc급은 14,15,16인치까지 큰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광폭은 작을 수록 핸들이 가벼워지며 연비가 좋아는 장점이 있지만 광폭이 커지면 커.. 더보기 알루미늄 휠의 역사 - 휠공구 최근 고유가 시대와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성비가 높은 자동차 부품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동차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소재로 만든 자동차 부품을 찾는 사람 들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휠은 기존 스틸휠에 대비해 최대40%까지의 무게를 절감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지구상에서 세 번째로 풍부한 원소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대부분 전기분해를 통해 원소재를 얻어내기 때문에 단가가 비싸며, 또한 비교적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부품은 형상의 복잡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철강재에 비해 .. 더보기 휠에 대해 - 휠공구 주차장 혹은 도로에 평행 주차를 하다 간혹 찌그러지거나 심각한 경우는 한쪽 귀퉁이가 패이는 등 휠 가장 자리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 꼭 휠을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수리와 복원을 통해 휠의 밸런스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완벽히 원형으로 제작된 휠이라도 밀도 때문에 전체 밸런스가 안맞는 경우가 있어서 휠의 안쪽에 납덩이를 붙여 밸런스를 맞춥니다. 이 납덩이가 바로 밸러스트(휠의 무게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해 부착하는 부착물로 무게추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불리며, 심지어 F1 휠도 이런 방식으로 밸런스를 잡는다고 합니다. 휠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는 스티어링의 떨림이 발생할 수 있고, 불필요한 진동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빨리 수리나 복원을 하는 .. 더보기 이전 1 ··· 42 43 44 45 46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