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로이 휠

휠의 크기에 따른 성능 - 휠공구 이전 포스팅에서 휠의 종류와 제작법에 따른 구분 등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휠은 크기에 따라 가격도, 성능도 달라지기 때문에 휠의 크기가 자동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운행되는 1500cc급 자가용으로 예를 들자면, 1500cc급 자가용의 휠은 일반적으로 185 / 65 / 14 의 사이즈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순서대로 타이어의 지면 접지면적두께(광폭)/ 휠과 사이의 타이어의 두께(시리즈)/ 휠지름을 뜻합니다. 보통 국내에서 생산된 1500cc급은 14,15인치 휠이 무리가 없으며 2000cc급은 14,15,16인치까지 큰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광폭은 작을 수록 핸들이 가벼워지며 연비가 좋아는 장점이 있지만 광폭이 커지면 커.. 더보기
알루미늄 휠의 역사 - 휠공구 최근 고유가 시대와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성비가 높은 자동차 부품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동차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소재로 만든 자동차 부품을 찾는 사람 들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휠은 기존 스틸휠에 대비해 최대40%까지의 무게를 절감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지구상에서 세 번째로 풍부한 원소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대부분 전기분해를 통해 원소재를 얻어내기 때문에 단가가 비싸며, 또한 비교적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부품은 형상의 복잡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철강재에 비해 .. 더보기
자동차 휠의 소재에 따른 장점과 단점 자동차의 휠은 예전부터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해서 만들어져 왔습니다. 처음엔 나무를 쓰다가 철을 쓰기도 하고 오늘날에는 알루미늄을 사용해서 만드는 휠이 가장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휠을 만드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재들의 장단점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알루미늄 한때는 휠에 사용하기에는 고가의 소재였지만, 지금은 가장 대중적인 휠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조기술과 단조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합금기술의 기술력 향상으로 높은 강도까지 갖추고 있으면서 무게도 가볍기 때문입니니다. 특유의 은빛이 나고, 녹이 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디자인과 관리상의 이점도 갖추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 입니다. 알로이 휠을 알루미늄 만으로 제작한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지만, 사실 알로이(Alloy)는 합금이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