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입차량

자동차 휠(림)의 구조와 종류

 

휠(림)의 구조와 종류

안녕하세용 09랍니다.

오늘은 휠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야 할듯 합니다.

휠의 구조!

 

 

알로이 휠은 몇년전만 해도 사치품의 하나였죠! 차량이 주행하는데 꼭 필요하지 않으면서 가격이 비싸 튜닝 매니아나 돈이 많은 사름들이 끼곤 했다. 하지만 요즘은 메이커에서도 기본 장착품(또는 옵션) 으로 나올 만큼 이제는 많이 대중화가 되어 있는데용!

알로이 휠은 일반 철제 휠에 비해 모양이 가변다. 하체에서 1kg감량은 차량 전체에 10kg의 감량 효과가 있다. 즉 알로이 휠이 일반 철제휠 보다 1kg씩이 가볍다고 전제 하면 전체 40kg의 감량 효과가 있다. 이는

연비 및 가속 성능과 순간 가속도가 향상이 된다.

그외에 미미하지만 승차감이 철제 휠에 비해 우수하며 고속시 차체 및 핸들의 떨림을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그리고 무엇보다도 같은 차종이라도 알로이 휠로 바꾸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달라보이고 인상적으로 보이는 외관상의 특징이 가장 크다고 볼수 있을것이다.

 

요즘은 "차량의 출고 후 휠을 바꾸는 오너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단점으로는 일단 철제휠에 비해 비싸고 우리나라 도로 사정엔 경량 휠은 강도가 약해 조그만한 충격에도 잘 휜다. 또한 전체적인 충격에 흐한 강도가 철제휠이 더 우수하다. 가격이 비싸다 보니 도난등의 우려도 있는게 현실이며

휠은 차량마다 장착이 가능한 휠이 정해져 있으므로 선택시 주의 해야 한다. 그럼 휠의 구조에 대해서 간략 하게 알아 볼까용! 휠은 크게 림 부위와 디스크 부위 두 부분으로 나눌수 있는데!!

1. 림 부위

타이어와 밀착되어 공기압을 유지 시켜주는 부위

표기시 그 폭이 인치로 표시된다라는 사실!! 주목

림" 림은 타이어를 장착 유지시켜주는 부분이며 림폭은 타이어의 편평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림 폭이 작은 경우는 사이드 휠 부분이 지나치게 노출되어 위험이 따른다. 림 폭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연비가 증가되며 차체와의 간섭 등의 원인이 된다.

오프셋" 림의 중심에서 디스크 취부면 까지 의 거리를 의미한다.et로 표시하며 승용차의 경우 플러스(+),지프차의 경우 마이너스(-)오프셋이 디는 경우가 많다. 오프셋이 틀린 경우 차량 간섭 현상이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를 무리하게 조정하기 위해 스페이어 (spacer) 등의 사용은 위험한 일이다. 이는 밸런스 및 런아웃 클레임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디스크 부위

휠의 디자인이 구사 되어 있는 저면 부위를 말하며 차체와 체결하여 주는 (hub)허브축, 볼트구멍등이 포함 되어 있다.

허브(hub) 휠의 중앙부분에 있는 구멍으로 차축과 체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차축의 지름과 반드시 일치해야 된다는 것이다. 허브직경이 맞지 않을 경우 허브링(hub-ring)을 이용하여 무리하게 장착 하면 런아웃 클레임이 야기될수 있다.

pcd(pitch center diameter) 휠이 차에 지탱할 목적으로 뚫은 구멍의 각 중심선을 연결한 원의 지금을 의미하며 pcd가 틀리면 차에 장착 할 수 없다. 승용차의 경우 그 구멍 수가 4개이며 수입차등 고급 차종은 5개가 보통이다.

플랜지(flange) 타이어의 비드 부분을 지탱시켜 주는 부분으로 흔히 j형과jj형이 있으며 밸런스 납츨 부착 시켜주는 부위이다. j형의 경우 클립식(박는 납)을 사용하고  jj형은 부착식 납을 사용한다.

이제 쉽게 이해가 가시나요

 

 그럼

과연 p.c.d?

위이미지와 마찬 가지로

휠 너트 구명과 구엉(?) 간의 간격을 간단히 말해 p.c.d라고 한다. 차량회사마다 저마다의 각각인 p.c.d를 가지고 있으므로p.c.d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자신의 휠을 구입할때도 쉽게 구할수 있다. 수입차 및 국산차 모두 회사마다 차종마다 다른p.c.d 가 있으므로 이점 항상 주의!

 

마지막으로 pcd의 측정밥법입니다.

*4홀

볼트구멍이 4개인 경우에 p.c.d 측정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볼트 구멍 중간부터 건터편 볼트 구멍 중간까지의 걸리를 측정하면 그 휠의 p.c.d가 된다.

밑줄쫙!

*5홀

이것이 약간의 문제인데 , 이해를 돕기 위해 볼트 구멍의 번호를 매기도록 하겠습니다.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1번부터5번까지의 볼트구멍이 있다고 생각하고 원칙적인 측정방법은1번볼트 구멍 중간부터 2번과 3번 중간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 정확히 계산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출판되는 blue note라는 책에 있는 게이지를 근거로 계산이 되는 ! 1번봎트 구멍 중간 부터 2번 볼트 구멍 중간까지의 거리만을 측정하여p.c.d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라는!~~

p.c.d 100 --- 5.8mm

p.c.d 108 --- 6.3mm

p.c.d 112 --- 6.65mm

p.c.d 114.3 --- 6.7mm

p.c.d 120 --- 7mm

p.c.d 130 ---7.6mm

이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p.c.d 측정 방법이다.

*6홀

이 방법은 4홀과 같은 건너편 볼트를 측정하면 된다.

휴 오늘 좀 많은 이야기를 했네요  오늘은 휠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용 조금은 이해가 가셨나요

추가 문의나 궁금하신점은 아래!!